분류 전체보기 72

말평 1일차

공모전 및 경진대회 정보를 조사하다가 국립국어원에서 개최하는 ‘말평’ 경진대회를 알게 됐다.지난 1학기에 머신러닝 과목을 수강하면서 캐글 대회에 참가했고, 얼마 전 챗GPT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에도 나가 봤으니, 이제 전공 및 관심 분야에 좀 더 가까운 대회에 나가보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참이었다.게다가 때마침 직장의 이번주 업무가 허깅페이스 책을 교정하는 것이라, 경진대회에 참가하면서 책으로 배우면 내 공부도 되고 책 저자에게 더 좋은 피드백도 줄 수 있어 시너지 효과가 크겠다는 판단을 했다. 현재 열려 있는 과제 중 ‘대화 맥락 추론(가 유형)’을 선택했다.https://kli.korean.go.kr/benchmark/taskOrdtm/taskList.do?taskOrdtmId=144 기준 모델: ht..

공모전 2024.07.17

복수전공 고려

복수전공 신청 기간이 또 돌아왔다.아직도 결정하지 못했다. 주로 들여다보는 학과들: 학과하고 싶은 이유하기 싫은 이유인공지능학과인공지능 관련 과목을 공부할 수 있다.어디 가서 인공지능을 전공했다고 당당하게 말하기가 힘들 것 같다.로보틱스도 인공지능도 모두 약해서 죽도 밥도 안 될 것 같다.기계제어공학과로보틱스 관련 과목이 많다.복수 전공을 하느라 다른 학과 과목을 들을 여유가 사라질 것이다.너무 공돌이가 되고 싶지 않다.AI크리에이터학과적당히 재미있고 실용적일 것 같다.이미 많이 다뤄봤고, 안 써본 것들은 그냥 써보기만 하면 되는데 굳이 전공으로 배워야 할까.그리고 학과명이 너무 전문대스럽다고 할까..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힙해지고 싶다.전공 과목을 열 몇 개나 들을 만큼 큰 시간 투자를 하고 싶지는 않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7.11

인문사회통합성과확산센터 2024 아이디어 공모전 입상

두 달 쯤 전에 문득 ‘챗GPT 관련 공모전이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찾아보니 인문사회통합성과확산센터에서 진행 중인 것이 있었다. 응모하기 전에는 이런 기관이 있는지도 몰랐다. https://hasworld.org/ur/forum/ideaContest 인문사회통합성과확산센터 hasworld.org 참가 대상이 고등학생부터 대학원생까지로 되어 있는데, 나도 대학생이니 참가해도 되지 않을까 하고 응모했다. 크게 두 가지 아이디어를 써서 냈다. 챗GPT와 클로드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챗GPT를 사회 문제 발견부터 해결 방법 도출, 성과 홍보까지에 활용할 수 있다.인문사회 분야에 특화한 GPT를 개발해 활용할 수 있다.학생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받거나 하지는 않았는데, 혹시라도 문제가 생기지 않게 하려고 ..

공모전 2024.06.19

읽지 못한 책

학교 전자도서관에서 빌린 “경험은 어떻게 유전자에 새겨지는가”의 대출 기간이 끝나서 6월 1일에 반납됐고, 예약해 둔 “가짜 노동”은 4일에 대출되어 8일에 반납됐다. 심지어 “가짜 노동”은 한 페이지도 못 봤다. 이래서는 제대로 이용하기 힘들다. ‘내서재’ 화면에서 이메일 수신 설정을 했다.  읽을 만한 책이 있나 하고 신착 목록을 둘러보니, 컴퓨터/인터넷 분야는 달랑 두 권밖에 없다.  목록을 출판일 역순으로 조회하니 목록에 3번째로 뜨는 책이 2011년 10월에 입고됐다. 대학교 도서관에 12년 반 만에 새로 들어온 IT 분야 책이 두 권밖에 없다고 하면 누가 믿을까.  신착 두 권 중 하나는 챗GPT 책인데 예약이 12건이나 걸려 있다. 다른 하나는 “그렇게 쓰면 아무도 안 읽습니다”라는 제목의 ..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우리안의글로벌이슈 9주차 요약

기말 시험 대신 과제가 나와서, 레포트 작성 준비를 위해 9주차 수업 내용을 정리한다. 국제형사재판소 (ICC)정의와 설립 배경- 국제형사재판소(ICC)는 개인을 처벌하기 위한 법원임.- 로마 규정에 근거하여 개인이 국제법상 중대한 범죄를 저질렀을 때 형사 책임을 추궁하기 위해 설립됨.- 1998년에 로마 규정이 채택되었고, 2002년에 발효됨으로써 ICC가 출범함.중요성1. 개인에 대한 형사 책임: 과거에는 국제법의 주체가 국가였으나, 현대 국제법에서는 개인도 중요한 역할을 함.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홀로코스트와 같은 중대한 범죄에 대해 개인의 책임을 물을 필요성이 대두됨.ICC의 기능과 역할- 관할 범죄: ICC는 네 가지 주요 범죄(Genocide, Crimes Against Hu..

무기공학 13주차 특강 - 국방 사이버공간 및 사이버작전의 이해

13주차 특강은 교안이 제공되지 않아서 나름대로 정리했다. (기말시험 범위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개요- 소개 및 목표: 국방사이버공간과 사이버작전에 대한 강의로, 목표는 국방사이버공간을 이해하고 사이버 자원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 주요 내용: 사이버 공간은 첨단 정보통신기술로 다양한 정보통신기기를 연결하며, 군사작전에서 사이버 공간은 지상, 해양, 공중, 우주와 함께 다섯 번째 전장 영역으로 인식됨.- 사이버작전의 의미: 기술적 관점에서 사이버 역량을 운영하여 목표를 이루고, 군사적 관점에서 적의 능력과 의지를 무력화하여 전장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 전략적 중요성: 각국은 사이버작전을 국가안보의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며, 사이버작전의 목표는 사이버 공간에서 절대 우위를 달성하여 국가 안보를 보장..

미드저니로 게임 애셋 제작

이번 학기에 수강하고 있는 ⟪게임엔진(Unity)⟫ 수업에서는 게임 애셋 제작법을 따로 가르치지 않는다. 애셋을 준비하는 것도 게임 제작 과정의 일부이긴 하지만, 프로그래밍보다는 미술의 영역에 가깝기 때문이다. 내가 일하는 출판사에서 얼마 전에 미드저니로 게임 애셋을 제작하는 주제의 책이 나왔는데, 이 책으로 2주간 스터디를 연다고 해서 참여했다. 총 8회의 과제를 통해 게임 애셋을 제작하고 적용해 WebGL로 배포하는 과정을 수행했다. 배경과 발판(platform), 캐릭터, UI, 아이템까지 모두 미드저니로 생성한 뒤 포토샵으로 추출해 유니티에서 스프라이트로 활용했다. 미드저니에 새로 가입해서 처음 사용해 봤는데, DALL·E와 스테이블 디퓨전을 많이 써봐서 그리 어렵지 않았다.포토샵도 십 년만에 다..

전자도서관

학교에 종이 책을 비치한 도서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고, 전자도서관이 있다. 작년에 입학한 뒤 둘러봤을 때는 장서가 너무 빈약하고 낡아서 실망했는데, 얼마 전에 책이 제대로 된 책이 들어왔다.  ⟪가짜 노동⟫을 읽어보려 했는데 다른 사람이 대출 중이다. 학교 전체에서 단 한 명에게만 빌려주고, 반납이 되어야 다른 사람에게 차례가 돌아가는 시스템인 것 같다. 무한 복제가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이상한 시스템이지만, 어른들의 사정이 있겠거니 하고 예약을 걸어뒀다. 행동 후성유전학에 관한 책 ⟪경험은 어떻게 유전자에 새겨지는가⟫를 빌렸다. ⟪괴롭힘은 어떻게 뇌를 망가뜨리는가⟫라는 책도 있다. 대출하지 않고도 일부 내용을 미리 읽을 수 있다. 체벌에 관한 대목에 한국어 판 감수자의 각주가 ..

카테고리 없음 2024.05.31

하계 학기 과목 둘러보기

내일부터 하계 학기 수강신청을 받는다고 해서 둘러보고 있다. 전공과목드론모의조종DF 시뮬레이터로 실습한다고 나와 있다. 집에서 학생 컴퓨터에 설치해 혼자 실습하는지 아니면 교육원에 직접 가서 실습하는지가 명확히 안내돼 있지 않지만, 시뮬레이터는 학교에서 제공하고 조종기는 개별 구매하라는 점과 상호작용 방법이 “비행 훈련 결과의 제출 및 레포트 작성을 통한 상호작용”이라고 된 걸로 봐서는, 학교에서 구매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개인 컴퓨터에 설치해 스스로 연습하라는 것 같다. 찾아보니 이 제품인 것 같다. 내가 가지고 있는 RF 모의 조종기가 호환되는 듯하다.https://www.drone-simulator.com/simulator/ 시뮬레이터 - 드론프릭시뮬레이터드론 제조와 소프트웨어 개발의 역량에서 탄생한..

2024년 하계 2024.05.12

유체역학에 관한 오해 바로잡기

베르누이 법칙에 기반한 양력(揚力, lift) 이론의 오류는 오랜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밝혀졌다.1900년대 초반: 독일의 물리학자 루트비히 프란틀(Ludwig Prandtl)은 경계층 이론을 발표하고, 베르누이 법칙만으로는 양력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1920년대: 쿠타-주코프스키 정리가 발표되면서, 양력의 발생을 순환(circulation)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베르누이 법칙에 기반한 이론의 대안으로 부상했다.1930년대: 미국의 공학자 시어도어 폰 카르만(Theodore von Kármán)은 베르누이 법칙에 기반한 양력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점성 유동과 와류 이론을 통해 양력을 설명하려 했다.1980년대 이후: NASA를 비롯한 여러 교육 기관에서 베르누이 법칙..

카테고리 없음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