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1

[과제] 창조의 원리(융합, 변형, 해체)를 이용한 일상 사례 보고서

(작성일: 2024. 1. 14.) 창조의 원리는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혁신과 변화의 뿌리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융합, 변형, 해체라는 세 가지 중요한 창조의 원리가 어떻게 현대 기술, 특히 스마트폰과 iOS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아이폰의 발명은 “스마트폰으로 하루를 시작하여 스마트폰으로 마감한다”는 소비계층의 등장으로 이어졌다.(권기덕 외, 2010) 아이폰은 기술의 우위와 호환성보다는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넷과 연결되고 다양한 기기들이 무리 없이 인식되고 구동될 수 있는 편리함을 찾는 사람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한 기기로 평가된다.(최용석, 2010) 스마트폰은 전화, 카메라, 컴퓨터 등의 기능이 융합된 대표적인 사례다. 이 융합은 개별적인 기기들의 기능을 하나의..

[과제]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를 통해 본 이란의 문화

(작성일: 2024. 1. 7.) 도입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는 아쉬라르 파르하디 감독의 2011년 작품으로 아카데미와 베를린국제영 화제 등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이 영화에서 발견한 이란의 문화적 특징 몇 가지를 서술한다. 법률 영화에서는 세 건의 소송이 진행되어 이란의 법 체계를 엿보게 한다. 영화는 부부가 이혼 소송을 시작하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씨민은 딸의 양육을 위해 외국으로 이주하고자 하지만, 남편인 나데르는 치매가 있고 거동이 불편한 아버지도 돌봐야 하는 입장이라 이를 거부하고, 이에 씨민은 이혼 소송을 제기한다. 이란에서 여성이 이혼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판사는 그들의 딸에게 부모 중 누구를 택할지 묻고, 부모는 법정 밖에서 결과를 기다린다. 친정으로 ..

머신러닝 4주차 - sex/gender, WCF, 세월호

타이타닉 생존자 데이터로 계속 실습하고 있는데, 한 가지 의문이 떠올랐다. 왜 성별을 나누는 칼럼의 이름이 sex가 아니라 gender인가? 수업에서 질의응답을 할 주제는 아닌 듯해서, 챗GPT에 물었다. 1. sex가 아닌 gender로 성별을 분류하기 시작한 시기가 언제인가? 성별을 'sex'가 아닌 'gender'로 분류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중반의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본격화되었습니다. 'Gender'라는 용어를 성별의 사회적, 문화적 구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주로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서였습니다. 이 시기에, 사회학자와 심리학자들은 생물학적 차이('sex')와 사회적 역할 및 정체성('gender') 사이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

서울사이버대 과제 작성 요령과 참고문헌 무료로 다운로드하는 법

안녕하세요, 서울사이버대학교 학우 여러분! 여러분은 학업 중에 수많은 보고서를 작성하게 될 것입니다. 효과적인 보고서 작성은 단순히 좋은 성적을 얻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잘 작성된 보고서는 여러분의 분석력, 비판적 사고력, 그리고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어떻게 자료를 수집하고 참고문헌을 인용해야 할지에 대해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고서 작성의 기본부터 시작하여, 서울사이버대학교 전자도서관과 DBPia를 활용하여 어떻게 효율적으로 참고문헌을 찾고 인용할 수 있는지까지 자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보고서 작성의 기초부터 참고문헌 활용 방법까지, 이 글이 여러분의 학업에 도..

임상기초메이크업 5주차 - 베이스 메이크업

4주차까지 이론 수업만 하다가 5주차에 들어서 처음으로 실습을 했다. 사이버대이다보니 실습이라고 해서 대면 수업을 하는 것은 아니고, 영상 강의를 시청하기만 하면 출석으로 인정된다. 기말 과제로 실습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고 들었다. 그리고 실습은 이론 수업과 다르게 ‘실감형 영상 강의’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네오가 총알을 피하는 장면처럼 여러 대의 카메라가 피사체를 둘러싸도록 배열해서 동시에 찍은 것이다. 그래서 모델의 왼쪽 얼굴이 보이는 시점부터 모델의 오른쪽 얼굴이 보이는 시점까지, 영상 재생 중에 시청자(학생)가 선택해서 볼 수 있다. 실습을 위해 올리브영에 화장품을 주문했다. 강의를 들었어도 화장품이 생소하고 워낙 다양해서 고르는 데 애를 먹었다. 다자연 365 그린 선인장..

2학기 학습 전략

지난 1학기에는 하루에 한 과목씩 듣고 주말에 보충하는 식으로 했다. 학습 시간을 유동적으로 내기는 했지만, 오프라인으로 학교에 다니는 것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게 접근했다. 그리고 수업 듣는 따로 시간을 내어 필기해 가며 들었는데, 중간 고사 이후부터는 힘이 빠져서 다른 일을 하며 틀어놓기도 했었다. 교재도 모조리 사놓고 거의 읽지 않았다. 1학기 성적이 아주 잘 나와서 기분이 좋긴 했지만, 성적을 잘 받아서 진학이나 취업을 할 것도 아니고 성적 장학금도 크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서 굳이 지나치게 열심히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해서 최소의 시간 투자로 최대의 성적을 얻는 것을 추구하지도 않는다(물론 시간 투자 대비 성적은 잘 나올수록 좋다). 배움의 즐거움을 얻는 것이 1순위..

2023년 2학기 2023.09.07

삶과사색 10주차

도나 해러웨이(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을 배웠다. 해러웨이는 학부에서 동물학, 철학, 문학 전공을 하고, 석사 때 진화철학과 신학을 연구하고, 박사는 생물학으로 학위를 받았다. “주로 SF 서사물의 기계-인간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되던 ‘사이보그’라는 단어를, 해러웨이는 “포스트휴먼적 존재 및 사유에 대한 ‘은유’로 사용”했다. 수업에서 사회주의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 사이보그 페미니즘을 구분해서 설명했다. 수업을 듣고 나서 책 《해러웨이 선언문》(황희선 옮김)을 사서 훑어봤다. 역자가 생물학과 문화인류학을 공부했다. 한 줄을 읽을 때마다 배경 지식을 필요로 하는 내용이 쏟아져 나와서, 생물학이나 철학, 페미니즘을 연구하지 않은 사람이 한 번 읽고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기상학 그림

수강 중인 항공기상 과목은 국토교통부에서 발간한 항공종사자 표준교재를 주교재로 쓴다. 이번 주에 중간고사인데 아직 한 번도 읽어보지 않았다. https://www.kaa.atims.kr/pubs/textbook/1/opinionAttachListAction.do 지금까지 배운 것은 대부분 항공에 국한되지 않은 일반적인 기상학이다. 아래 주소의 기상학 강의 앞부분(1~6강)과 겹치는 내용이 많다. Survey of Meteorology - Class Notes - Outline - Lyndon State College (vsc.edu) 대기의 연직 구조 온도 단위 물의 상태 변화 열 전도 파 태양 복사 에너지 수지 지구와 태양의 거리 입사각 계절 백엽상 물의 순환 공기 주머니(Air parcle) 구름 종..

하늘은 왜 파랄까? 레일리 산란과 미 산란

항공기상 3주차 수업에서 레일리(Rayleigh) 산란과 미(Mie) 산란을 배웠는데 원리가 잘 이해되지 않아서 좀 더 찾아봤다. Blue Sky and Rayleigh Scattering (gsu.edu) Blue Sky and Rayleigh Scattering Sky Saturation and Brightness As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sky brightness and the saturation of the blue sky color, measurements of the color of the sky photograph were made from a computer monitor using Adobe Illustrator's color tools. None of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