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3

기상학 그림

수강 중인 항공기상 과목은 국토교통부에서 발간한 항공종사자 표준교재를 주교재로 쓴다. 이번 주에 중간고사인데 아직 한 번도 읽어보지 않았다. https://www.kaa.atims.kr/pubs/textbook/1/opinionAttachListAction.do 지금까지 배운 것은 대부분 항공에 국한되지 않은 일반적인 기상학이다. 아래 주소의 기상학 강의 앞부분(1~6강)과 겹치는 내용이 많다. Survey of Meteorology - Class Notes - Outline - Lyndon State College (vsc.edu) 대기의 연직 구조 온도 단위 물의 상태 변화 열 전도 파 태양 복사 에너지 수지 지구와 태양의 거리 입사각 계절 백엽상 물의 순환 공기 주머니(Air parcle) 구름 종..

하늘은 왜 파랄까? 레일리 산란과 미 산란

항공기상 3주차 수업에서 레일리(Rayleigh) 산란과 미(Mie) 산란을 배웠는데 원리가 잘 이해되지 않아서 좀 더 찾아봤다. Blue Sky and Rayleigh Scattering (gsu.edu) Blue Sky and Rayleigh Scattering Sky Saturation and Brightness As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sky brightness and the saturation of the blue sky color, measurements of the color of the sky photograph were made from a computer monitor using Adobe Illustrator's color tools. None of t..

드론의 진화 사진

항공기상 첫 수업에 드론의 진화가 나와서 사진을 찾아봤다. Sperry Aerial Torpedo Hewitt-Sperry Automatic Airplane - Wikipedia 100년 전에도 무인기가 있었다니 놀랍다. Queen Bee Queen Bee - Radio-Controlled Target Aircraft of the 1930s - Naval Historical Society of Australia (navyhistory.au) Flying Bomb V-1 V-1 flying bomb - Wikipedia PB4Y-1 Consolidated PB4Y – Wikipedia V-1에 대응하기 위해 무인기로 개조. 자료를 찾아보니, 사람이 탑승해서 2,000 피트 고도까지 올라간 뒤 PV-1에서 ..